![]() |
![]() |
![]() |
Aims and Scope |
About the Journal |
About the Society (KWMS) |
Editorial Board |
Past Editorial Boards |
Open Access |
Principles of Transparency and Best Practice |
Editorial Office |
Subscriptions |
AbstractBackground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hydrogel wound patch incorporating natural extracts, designed to function as a sun patch. By maintaining a moist environment and delivering bioactive compounds, the patch promotes wound healing while also providing cooling and ultraviolet (UV) protection. This dual-purpose approach enhances skin recovery and shields damaged areas from external stressors. The study aims to optimize the formulation and evaluate its efficacy for both therapeutic and cosmetic applications.
Methods Hydrogel solutions prepared using acrylamide, glycerol, and carboxymethyl cellulose were enriched with extracts from Saururus chinensis, Styrax japonicus, and Centella asiatica. The enriched solutions were processed into patches and tested for their adhesion, cooling effects, and UV protective abilities. Additionally, the wound healing efficacy was evaluated in a mouse model.
Results The hydrogel patches demonstrated comparable adhesion properties, effective skin cooling, and high UV protection rates similar to those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 the mouse model, the patches significantly improved wound closure and tissue regener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서론피부는 신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기관 중 하나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수분손실을 막아줄 뿐 아니라, 미생물과 유해 물질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체내 조직 및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1,2].
하이드로겔은 친수성 고분자가 수소결합, 이온결합 등의 물리적인 결합 또는 화학적인 공유결합을 통하여 형성된 3차원 가교 구조로, 안에 많은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물질이다[3,4]. 최근에 하이드로겔은 섬유[5], 농업[6], 식품공학[7,8] 등 다양한 응용분야로 그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하이드로겔은 잘 늘어나고(flexibility) 다양한 성분을 첨가할 수 있어,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성장인자 등을 넣을 경우 창상 수축과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다[1,9]. 또한 창상의 크기, 위치, 심각도에 따라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하이드로겔은 방사선 관련 창상, 화상, 욕창, 수술 창상, 열상 등 다양한 창상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1]. 드레싱 폼이나 기타 드레싱 재료들과 비교할 때, 하이드로겔은 자연적인 세포외기질과 유사한 3차원 다공성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세포가 증식하고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1]. 최근에는 하이드로겔과 미세침을 결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약물 전달 및 창상 치유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10].
이처럼 하이드로겔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데, 최근 기능성 하이드로겔 제품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확대되면서 그 시장성도 함께 커지고 있다. 기존에는 주로 진정 및 보습 효과만 제공하던 하이드로겔 제품이 있었는데, 최근 자외선 차단 기능을 추가한 선패치(sun patch)가 마스크 및 아이 패치 형태로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아웃도어 스포츠 인구의 증가에 따른 창상 환자 수의 증가로, 빠른 창상 치유와 상흔의 최소화를 위한 기능성 제품 개발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창상 치유를 직접 촉진하는 제품이 상용화된 사례는 없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하이드로겔 선패치를 개발하였고, 동물모델을 통해 창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방법하이드로겔 선패치 제조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acrylamide,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Irgacure 184), glycerol,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carboxymethyl cellulose (CMC)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와 quaternized cellulose fiber (Q-CNF) (무림P&P㈜),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때죽나무(Styrax japonica) 추출물, 병풀(Centalla asiatica) 추출물 (㈜코씨드바이오팜)을 준비하였다. 제조에 사용된 삼백초, 때죽나무, 병풀 추출물은 피부 개선 및 항염 등의 효과를 위해 화장품 및 의료용 첨가제로 이용되는 제품이다.
용액 제조를 위해서 acrylamide 16 g과 Irgacure 184 0.10 g을 증류수 32 g에 넣고 완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하여 용액 A를 제조하였다. 이후 Q-CNF 6.0 g과 CMC 0.50 g을 glycerol 45 g에 첨가하고 교반시켜 CMC가 균일하게 분산된 용액 B를 만들고, 교반중인 용액 A에 용액 B와 TMPTA 0.40 g을 첨가하여 고르게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용액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이형필름 상부에 도포하고 바코터(bar-coater)를 사용하여 균일한 두께로 코팅하였다. 이후 500 mJ/cm2의 자외선 노광으로 가교반응을 통해 하이드로겔 시트를 형성시키고, 그 위에 섬유원단을 합지하여 선패치 제품을 완성하였다. 천연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선패치는 하이드로겔 용액 단계에서 천연추출물 3종을 각각 2 g씩 첨가하고 교반한 뒤 그 이후 과정은 위에 서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천연추출물 미첨가 선패치, 삼백초 추출물 첨가 선패치, 때죽나무 추출물 첨가 선패치, 그리고 병풀 추출물 선패치 등 총 4종류의 시제품을 완성하였다.
선패치 평가선패치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접착능력(adhesion), 쿨링능력(cooling effect), 그리고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평가하였다. 이 평가에는 천연추출물 미첨가 선패치를 활용하였다.
접착 평가제조된 하이드로겔 선패치의 부착 특성 평가를 위해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mechanical testing machine)를 사용하여 초기점착력(tack)과 박리강도(peel)를 측정하였다. 연질의 하이드로겔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만능재료시험기(TAXTM-series, 연진에스텍)에 10N load cell (OBU-1, 연진에스텍)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초기점착력 평가는 ASTM D1878-61T 및 ASTM D2979-95 규격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박리강도의 경우 ASTM D3330에 따랐다.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한 초기점착력 및 박리강도 비교평가를 위해 제조한 시제품과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 2종, 즉, UV 컷 아웃도어 선 패치 (메디힐)와 UV 컷 골프 패치(다슈)를 사용하여 점착 특성을 비교하였다.
동물임상평가(창상피복효능평가)창상피복효능은 천연추출물을 함유한 시제품을 포함하여 평가하였다. 즉, 천연추출물 미첨가 선패치와 천연추출물 첨가 선패치 3종을 모두 실험에 활용하였다.
동물모델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35마리의 9주령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 free)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암컷 마우스(mouse)로,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창상 모델을 제작하였다[11]. 본 실험은 동물실험윤리규정을 준수하여 실시하였으며, 실험기관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IACUC No. 2023-0037). 마우스는 입식 후 1주일 간 동일 조건으로 사육하며 순화시킨 뒤 실험을 진행하였다. 동물 모델 제작을 위한 과정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일주일간 순화시킨 마우스를 isoflurane으로 호흡 마취시킨 후, 등쪽 피부의 털을 제거한 후 마킹펜으로 직경 6 mm의 원형을 양쪽에 표시하였다. 해당 부위를 요오드 및 70% 알코올로 소독한 후 등 피부를 충분히 잡아당겨 겹치게 하였고 punch biopsy 도구로 피부 전층을 뚫었다. 창상부위의 수축을 방지하여 실험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링을 덧댄 후 링과 창상 주변 피부조직을 수술용 실로 고정시켰다.
시제품 적용창상을 유발한 후 바로 각 군에 맞는 샘플을 적용하였다. 35마리의 마우스를 5마리씩 7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Table 1). 하이드로겔 선패치를 적용하지 않고 거즈로만 처치한 군을 미처치군(G1: non-treated group), 기존 상용화된 제품들을 적용한 군을 대조군(control group)으로 하였고, 세부적으로 타사 선패치(G2: UV 컷 아웃도어 선 패치)군과 타사 창상피복재(G3: 하이맘번 잘라쓰는타입, 중외제약)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천연추출물 미첨가 선패치군(G4), 삼백초 추출물 첨가 선패치군(G5), 때죽나무 추출물 첨가 선패치군(G6), 병풀 추출물 첨가 선패치군(G7)으로 세분화하였다. 하이드로겔 선패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보더 및 코반(탄력붕대)을 사용하여 마우스의 몸에 감았으며 하루 2회 이상 상태를 확인하여 최대한 일정한 환경을 유지하였다.
결과접착 평가하이드로겔 선패치의 접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제품과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 2종 간의 접착특성을 비교하였다.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 시제품의 초기점착력 및 박리강도가 시중 제품 2종에 비해 약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2).
자외선 차단 기능 평가하이드로겔 선패치 제품에 자외선 차단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섬유원단을 사용하였다. 섬유원단의 자외선 차단에 대한 규격인 AATCC TM183:2020e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여, 우수한 차단율을 확인하였다(자외선 A: 96.7%, 자외선 B: 99.6%, 자외선 R: 97.6%).
동물임상평가(창상피복효능평가)육안검사7개 그룹, 총 35마리에 대해 제품을 적용시키면서 날짜별로 육안검사를 통해 창상의 면적을 측정하여 날짜별 치유정도를 확인하였다(Supplementary Table 1). 날짜별 치유정도를 %로 정량평가하고 그룹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에 정리하였다. 9일째에 모든 그룹에서 50% 이상의 창상 치유를 보였고, 사후검정결과 9일과 14일째 그룹간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P<0.05). 9일째에는 타사 선패치군과 타사 창상피복재군 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확인되었고, 14일째에 타사 선패치군과 타사 창상피복재군, 삼백초 추출물 첨가 선패치군 간의 창상 치유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추출물 첨가 선패치군과 타사 창상피복재 사이의 유의미한 결과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Fig. 3).
초기 2일째에는 장액성, 섬유소성 삼출물이 모든 군에서 관찰되었고, 5일째에 섬유소성 삼출물이 더 많아짐을 확인하였다. 9일째부터 각 군별로 창상 크기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미처치군과 타사 선패치군을 제외하고 표피 재생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미처치군과 타사 선패치군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창상 면적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으며, 실험 종료인 14일째에는 창상이 거의 치유된 양상을 보였다(Fig. 4). 미처치군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타사 선패치군에 비해 14창상 면적이 더 작아졌었고, 천연추출물 미첨가 선패치군에 비해 타사 창상피복재군과 추출물성분을 첨가한 선패치군에서 창상 면적이 더 줄어든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타사 창상피복재군과 추출물 성분을 첨가한 선패치 3종 간의 결과는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실험 종료시기인 14일째, 창상 치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등의 피부조직을 채취하여 H&E 염색을 진행하고 광학현미경으로 결손부 조직의 표피와 진피의 재생 정도 및 염증세포의 분포를 관찰하였다. 검사 결과, 각 군마다 아직 상피화가 다 이루어지지 않은 일부 개체가 있었으며, 이들 개체는 현재 염증기가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부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미처치군은 상피화가 잘 되어 있었으나 콜라겐이 여러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었고 염증도 중증도로 관찰되었다. 타사 선패치군의 경우 상피화가 되어 있지 않고 염증세포의 침윤이 많아 심한 염증기가 진행 중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타사 창상피복재군의 경우 상피화가 잘 되어 있었고 육아조직도 잘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물미첨가 선패치군은 상피화가 비교적 잘 되고 육아조직도 형성되어 있었으나 염증이 아직 진행 중이었다. 삼백초, 때죽나무, 병풀 추출물을 첨가한 선패치의 경우 전반적으로 상피화도 잘 되어 있었으며 육아조직도 잘 형성되어 있었다(Fig. 5).
고찰하이드로겔 선패치는 피부가 자외선에 많이 노출되는 외부 활동 시 얼굴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으로, 하이드로겔의 피부쿨링 효과와 자외선 차단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하이드로겔 선패치에 창상 치유에 도움이 되는 천연추출물을 추가한 기능성 하이드로겔 선패치를 개발하였고, 동물모델을 통해 창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조직병리학적 평가에 앞서 하이드로겔 선패치의 제품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접착능력, 피부쿨링 효과 및 자외선 차단 성능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하이드로겔 점착제의 경우 하이드로겔 간의 점착 특성에 대한 정량적 수치화와 단순 비교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함께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시중 제품 2종은 초기점착력 및 박리강도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인 만큼 안정적인 피부 점착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접착능력에 대한 평가결과 시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선패치 제품과 비교하여 점착 특성이 동등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표면에 선패치를 부착한 전후의 온도를 측정하여 하이드로겔 선패치가 피부쿨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하이드로겔 시트는 비열이 비교적 높은 수분과 글리세롤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온도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특성에 의해 외부에서 장시간 활동할 때 부착하는 선패치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선패치 제품에 적용한 섬유원단의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평가한 결과 파장별로 구분된 모든 자외선 영역에 대해 우수한 차단율(자외선 A: 96.7%, 자외선 B: 99.6%, 자외선 R: 97.6%)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외부 활동 중 노출되는 다양한 종류의 자외선에 대해 차단 기능이 부여된 선패치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에서 제조한 시제품이 시중에 판매되는 하이드로겔 선패치 제품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창상 치유 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창상에 대한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창상피복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은 마우스 모델을 활용하여 행해졌다. 마우스의 피부는 사람 피부와 마찬가지로 표피, 진피, 그리고 그 밑의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각 층의 해부학 및 생리학적인 특성에 차이가 있다[12]. 상피의 구조, 털의 성장주기, 땀샘의 유무 등 다양한 점이 다르지만, 특히 창상 치유 방법에 있어서 인간과 큰 차이가 있다[12]. 마우스에는 피하조직층에 panniculus carnosus라는 얇은 근육층이 존재하여 창상이 발생하면 이 층이 수축함으로써 창상도 같이 수축시켜 치유가 진행되지만 인간은 표피의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와 육아조직 형성을 통해 창상이 치유된다는 점이 크게 다르다[12]. 그렇기에 본 실험을 수행할 때 창상 형성 후 피부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스플린트(splint)를 사용하여 인간 피부에서처럼 재상피화 및 새로운 조직 생성을 유도하였다[13]. 수축으로 인한 창상 면적의 축소가 아니라 인간 피부에서와 유사한 치유 기전에 따른 창상 치유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창상을 생성한 후 주위에 링 모양의 스플린트를 피부에 봉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10]. 기존 문헌에서는 실리콘제 스플린트를 사용하였으나[11-13], 본 실험에서는 하이드로겔 선패치와 창상 간의 밀착성을 위해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으로 대체하였다. 마우스의 피부 특성상 스플린트가 풀리거나 마우스가 이를 손상시킬 경우 창상이 빠르게 수축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매일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13].
창상의 치유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진행되며, 지혈 및 응고기, 염증기, 증식기, 그리고 성숙기의 단계로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외인성 및 내인성 인자들이 다양한 역할을 하게 된다. 창상 치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더 효과적인 창상피복재를 개발하는 연구가 그동안 많이 행해졌다. 본 실험에서 창상에 대한 효능평가에 사용된 시제품에는 천연추출물을 첨가하였는데, 여기서 사용된 물질은 삼백초, 때죽나무, 병풀 추출물이었다. 삼백초의 열수추출물은 피부주름 억제 및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조직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14]. 또한 삼백초의 주성분 중 quercetin과 quercitrin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일종으로 지방 산화를 억제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하며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 외에 삼백초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도 여러 연구를 통해 보고된 바 있다[15,16]. 때죽나무는 전통적으로 관절염, 사지통증, 인후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17,18]. 때죽나무 열매 추출물은 여러 인체 병원성균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항산화 활성과 관련된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polyphenol) 함량이 높아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 평가된다[17,18]. 병풀은 오래 전부터 피부 창상 등의 치료에 이용되어 왔으며 아토피성 피부염에 적용할 경우 가려움증 완화 및 손상된 피부 회복에도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19,20].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피부성장인자를 병풀과 병용하여 투여하면 창상 치유 효과가 증가함이 보고되었으며,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켜 창상 치료 목적의 연고제로 사용되고 있다[21,22].
하이드로겔 선패치 적용 후 창상에 대한 육안검사를 실시한 결과, 타사 선패치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창상 면적이 줄어들어 거의 치유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하이드로겔 선패치는 비교군으로 사용된 타사 선패치 제품과 다른 조성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타사 선패치는 선패치로서의 기능은 갖추었으나 창상피복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은 아니었다. 정제수, 글리세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아크릴릭애씨드, 아가, 나이아신아마이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이 첨가되어 본 연구에서 시제품으로 사용한 하이드로겔 선패치와는 조성에서 큰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에서 이런 제품을 비교 목적으로 사용한 것은 시제품 하이드로겔 선패치가 하이드로겔 조성 함량의 변화 및 천연추출물 첨가 유무에 따라 선패치로서의 효능뿐 아니라 창상 치유 기능도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였다.
육안 및 조직학적 평가를 통하여 천연추출물을 함유한 시제품 선패치가 타사 창상피복제와 비슷한 치유 효과를 보여 창상피복재로서의 효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하이드로겔 선패치는 피부 점착력 및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선패치로서의 기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창상부에 밀착하여 상피 및 진피조직 재생에 기여함으로써 여러 기능을 함유한 선패치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Conflict of Interest이 논문에는 이해 관계 충돌의 여지가 있음. 실험은 씨어스테크놀로지에서 개발된 재료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음. 또한 본 과제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3.0)의 연구결과임. Supplementary MaterialSupplementary Table 1.Results of wound area for each individual across 7 groups Fig. 1.Methods for measuring skin temperature. The skin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attaching the sun patch to the same skin location was compared. ![]() Fig. 3.Assessment of mean percentage of wound closure in each group. Wound closure percentage was measured on days 2, 5, 9, and 14. The groups are as follows: non-treated group (G1), control group (G2: sun patch, G3: wound healing patch), experimental group (G4: extract-free sun patch, G5: Saururus chinensis extract sun patch, G6: Styrax japonica extract sun patch, G7: Centalla asiatica extract sun patch). ![]() Fig. 4.Gross wound features after sun patch application. Features assessed on days 0, 2, 5, 9, and 14 of the experiment for each group. The groups are as follows: non-treated group (G1), control group (G2: sun patch, G3: wound healing patch), experimental group (G4: extract-free sun patch, G5: Saururus chinensis extract sun patch, G6: Styrax japonica extract sun patch, G7: Centalla asiatica extract sun patch). ![]() Fig. 5.Histological features on day 14 of the experiment. (A) G1, (B) G2, (C) G3, (D) G4, (E) G5, (F) G6, (G) G7. G2 group exhibited a non-epithelized wound surface, whereas the G4, G5, G6, and G7 groups showed epithelialization an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The groups are as follows: non-treated group (G1), control group (G2: sun patch, G3: wound healing patch), experimental group (G4: extract-free sun patch, G5: Saururus chinensis extract sun patch, G6: Styrax japonica extract sun patch, G7: Centalla asiatica extract sun patc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200). ![]() Table 1.Detailed information of animals divid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treatment Table 2.Initial adhesion (tack) and adhesiveness (peel) measurements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Table 3.Wound closure percentage on days 2, 5, 9, and 14, comparison to day 0 References1. Huang C, Dong L, Zhao B, et al. Anti-inflammatory hydrogel dressings and skin wound healing. Clin Transl Med 2022;12:e1094.
![]() ![]() ![]() ![]() 2. Dabrowska AK, Spano F, Derler S,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function, barrier properties, and body-dependent factors. Skin Res Technol 2018;24:165-74.
![]() ![]() ![]() 3. Tang S, Yang J, Lin L, et al. Construction of physically crosslinked chitosan/sodium alginate/calcium ion double-network hydrogel and its application to heavy metal ions removal. Chem Eng J 2020;393:124728.
![]() 4. Zhang X, Elsayed I, Navarathna C, et al. Biohybrid hydrogel and aerogel from self-assembled nanocellulose and nanochitin as a high-efficiency adsorbent for water purification.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9;11:46714-25.
![]() ![]() 5. Qiao N, Zhang Y, Fang Y, et al. Silk fabric decorated with thermo-sensitive hydrogel for sustained release of paracetamol. Macromol Biosci 2022;22:e2200029.
![]() ![]() ![]() 6. Palanivelu SD, Armir NA, Zulkifli A, et al. Hydrogel application in urban farming: potentials and limitations: a review. Polymers (Basel) 2022;14:2590.
![]() ![]() ![]() 7. Corkovic I, Pichler A, Simunovic J, et al. Hydrogel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as delivery systems of phenolic and aroma compounds. Foods 2021;10:1252.
![]() ![]() ![]() 8. Li J, Jia X, Yin L. Hydrogel: diversity of structures and applications in food science. Food Rev Int 2021;37:313-72.
![]() 9. Firlar I, Altunbek M, McCarthy C, et al. Functional hydrogels for treatment of chronic wounds. Gels 2022;8:127.
![]() ![]() ![]() 10. Yang L, Gao Y, Liu Q, et al. A bacterial responsive microneedle dressing with hydrogel backing layer for chronic wound treatment. Small 2024;20:e2307104.
![]() ![]() 11. Lim SH, Yu HU, Yoon SJ, et al. Effect of hydrogel dressing for wound healing in full-thickness wound on nude mouse. J Korean Wound Manag Soc 2010;6:10-4.
12. Wong VW, Sorkin M, Glotzbach JP, et al. Surgical approaches to create murine models of human wound healing. J Biomed Biotechnol 2011;2011:969618.
![]() ![]() ![]() ![]() 14. Gang SR, Min KJ, Kim YC. The inhibitory effects of Saururus chinensis water extract on skin wrinkle in hairless mice. J Korean Soc Cosmetol 2009;15:1389-98.
15. Lee JJ, Kim DH, Lim JJ, et al. Antibacterial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ethanol extract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infection in RAW 264.7 macrophage. Korean J Vet Public Health 2010;34:285-91.
16. Kim SK, Ban SY, Kim JS, et al.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unds in Saururus chinensis by extraction conditions. Appl Biol Chem 2005;48:89-92.
17. Jung EG, Jang DH, Kim JH, et 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seed extracts from Styrax japonicus. Soonchunhyang J Nat Sci 2014;20:159-66.
18. Kim YS, Shin DH. Volatile component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solvent extracts from the leaves of Styrax japonica S. et Z. Food Sci Biotechnol 2004;13:561-5.
19. Bonte F, Dumas M, Chaudagne C, et al. Influence of asiatic acid, madecassic acid, and asiaticoside on human collagen I synthesis. Planta Med 1994;60:133-5.
![]() ![]() 20. Bae JP, Annamneedi VP, Park JW, et al. Evaluation of anti-atopic efficacy of Centella asiatica using animal model. Yakhak Hoeji 2023;67:354-9.
![]() 21. Kim HP, Kim YC. Effects of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and epidermal growth factor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J Appl Pharmacol 1995;3:80-4.
22. Paek YW, Kim KS, Hwang B. Micropropagation of Centella asiatica through terminal bud culture. Korean J Plant Tissue Cult 1996;23:235-8.
|
|